2021. 8. 16. 14:35ㆍ경제신문스크랩
1 헤드라인
G마켓 육아용품 구매 5배
목욕·세탁제품·간식 인기
2 본문
육아 [사진 = 연합뉴스]사회적 거리 두기가 길어지면서 온라인을 통한 남성들의 육아용품 구매가 늘고 있다. 거리 두기와 함께 재택근무가 확대되고 저녁 시간 3인 이상 집합 금지로 집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육아에 대한 아빠들의 관심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5일 온라인 쇼핑몰 G마켓에 따르면 수도권 사회적 거리 두기 4단계가 시작된 지난달 12일부터 이달 12일까지 한 달 동안 남성의 육아 관련 용품 구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최대 5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제품군에서 남성들의 육아용품 구매가 늘어났다. 남성들의 수입 기저귀와 분유 구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9%, 6% 증가했다. 간식으로 많이 쓰이는 유아 퓌레와 유아 음료는 각각 18%, 36%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세탁 관련 용품으로 유아용 세탁비누는 74%, 유아 섬유유연제는 481%로 5배 가까이 급증했고, 유아 옷 얼룩제거제 판매는 69% 증가하며 오름세를 보였다.
목욕, 세안 등 육아 청결과 관련된 용품도 남성들이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찾았다. 남성들의 유아 목욕용품 전체 구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5% 증가한 가운데, 목욕장갑과 탕온도계 구매가 각각 26%, 131% 신장했다. 남성의 유아용 목욕 장난감 구매도 4배 가까이 늘었다. 유아 치약은 9%, 영유아를 위한 유아 구강 청결 티슈 판매는 157% 급증했다.
유아용 스킨케어 용품 수요 역시 상승했다. 로션과 기저귀 크림 구매량은 지난해 대비 각각 13%, 6% 늘었다. 폭염으로 인한 유아 선케어 판매는 214%, 핸드워시 구매는 48% 증가했다.
G마켓 관계자는 "재택근무가 다시 시작되자 남성들이 이전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육아에 나서는 모습"이라며 "식사, 목욕, 스킨케어 등 다양한 품목의 구매가 늘었다"고 말했다.
[강민호 기자]
"기저귀 분유 사는 아빠 늘었다"…길어진 '집콕'에 육아템 사는 남성
G마켓 육아용품 구매 5배 목욕·세탁제품·간식 인기 사회적 거리 두기가 길어지면서 온라인을 통한 남성들의 육아용품 구매가 늘고 있다. 거리 두기와 함께 재택근무가 확대되고 저녁 시간 3인
news.naver.com
3 본문의 근거 (객관적인 수치)
G마켓- 수도권 사회적 거리 두기 4단계가 시작된 7/12~8/12일동안 남성의 육아 관련 용품 구매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최대 5배 증가
남성들의 유아 목욕용품 전체 구매량-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5% 증가한 가운데, 목욕장갑과 탕온도계 구매가 각각 26%, 131% 신장. 남성의 유아용 목욕 장난감 구매도 4배 증가. 유아 치약은 9%, 영유아를 위한 유아 구강 청결 티슈 판매는 157% 급증
수입 기저귀와 분유 구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9%, 6% 증가.
· 간식으로 많이 쓰이는 유아 퓌레·음료- 각각 18%, 36% 늘어난 것으로 집계.
· 세탁 관련 용품- 유아용 세탁비누는 74%, 유아 섬유유연제는 481%로 5배 증가, 유아 옷 얼룩제거제 69% 증가
· 유아용 스킨케어 용품- 로션과 기저귀 크림 구매량은 지난해 대비 각각 13%, 6% 늘었다. 폭염으로 인한 유아 선케어 판매는 214%, 핸드워시 구매는 48% 증가
4 추가조사할 내용 OR 결과
· 아기 화장품 시장
아기 화장품은 성인용 제품에 비해 자극이 훨씬 적고 향료도 적다. 한국의 저출산 위기에도 아기 화장품 시장은 2014년 1,200억 원에서 2018년 2,000억 원으로 성장.
: 아이를 위해 돈을 아끼지 않는 요즘 젊은 부모들의 소비문화가 반영된 결과.특히나 미세먼지 등 환경요인의 급격한 변화로 아이들이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에 노출되는 일이 많아지면서 영유아 화장품에 관심을 기울이는 부모들도 늘어나는 추세.
-> 영유아용 화장품이 전체 화장품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그리 높지 않아 여전히 성장 잠재율이 높은 시장으로 평가됨.
"국내 육아용품 시장은 출산율 감소에도 불구,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매년 10~20%의 성장세를 보이며, 규모뿐만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상당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밀레니얼 부모와 골든 키즈 시대가 만나 윤리적인 유통 과정과 유해 성분이 없는 고품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와이랩스 관계자
이는 실제 사용 후기나 품질 검증 등으로 연결되어 온라인 커뮤니티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단순 정보 공유에 더 나아가, AI 기술에 기반한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19 화장품 산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영유아용 화장품 생산액은 568억 원으로, 전체 생산금액의 0.36%에 불과했다.
- 국내 아기화장품 브랜드평판 2021년 3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몽디에스 2위 아토팜 3위 바이오더마
5 요약 및 의견
G마켓- 남성들의 육아 용품 매출 5배 증가
(수입 기저귀, 분유, 세탁, 목욕 ,세안, 스킨케어 등)
-> 재택근무 / 8시 이후 3인 이상 집합 금지 영향
6 적용할 점
1. 월마트: 육아하는 남성들의 구매내역을 분석해 맥주-기저귀 연계 판매로 판매율 5배 상승 사례처럼,
구매패턴을 바탕으로 성인용 상품 구매시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유아용 상품을 추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면?
2. 콜라보 마케팅
유아 화장품-식품 OR 의류 등 기업 간 콜라보를 통해 인지도 높인다면, 어떤 브랜드와 협업? 이유는?
7 연관 기사 링크
1) 출산율 낮아도 아기 화장품 수요는 높아
출산율 낮아도 아기 화장품 수요는 높아 ::: 식약신문 :::
아기 화장품은 만3세 이하의 영유아 화장품을 말한다. 영유아용 샴푸·린스·로션·오일 등 목욕용품과 선크림·파우더 등이 해당된다. 영유아 화장품은 특별히 순하고, 자극적이지 않도록 만들
www.fmnews.kr
2)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아기화장품 브랜드평판 7월 빅데이터 분석 결과...1위 몽디에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아기화장품 브랜드평판 7월 빅데이터 분석 결과...1위 몽디에스”
아기화장품 브랜드평판 2021년 7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몽디에스 2위 아토팜 3위 바이오더마 순으로 분석되었다.
www.insight.co.kr
3) 와이랩스, "육아용품 이커머스 시장 넘어선 큐레이션 커머스 공략 나선다!"
와이랩스,
디지털콘텐츠기업 성장지원센터 입주기업 '와이랩스'는 육아용품 체험 리뷰 서비스 '로마박스'를 출시하며 주력 소비층으로 급부상한 MZ세대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kr.aving.net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스크랩] 022. '종잣돈' 늘린 당근마켓, 농수산물 거래 중개 /21.08.18 (0) | 2021.08.19 |
---|---|
[경제신문스크랩] 020. "23만원짜리 420만원이라도 산다"…2030 꽂히면 아낌없이 지른다 /21.08.17 (0) | 2021.08.17 |
[경제신문스크랩] 018. 회사이름과 설명 한줄만 넣어도…광고 문구 척척 만들어주는 AI /21.08.13 (0) | 2021.08.13 |
[경제신문스크랩] 017. "1020 잡아라"…메타버스에 문 여는 편의점·호텔 /21.08.12 (0) | 2021.08.12 |
[경제신문스크랩] 016. 마이크로바이옴, 이젠 바르세요 /21.08.11 (0) | 2021.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