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8. 12. 14:33ㆍ경제신문스크랩
1 헤드라인
CU '제페토한강점' 열어
내달 한화 '양양 서핑 호텔' 오픈
롯데홈쇼핑은 자체 플랫폼 육성
2 본문
유통업계가 ‘Z세대의 플랫폼’ 메타버스에 잇달아 진출하고 있다. 핵심 타깃 소비자인 젊은 층이 모이는 곳으로, 코로나19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마케팅 플랫폼으로 떠오르고 있다.
CU는 11일 네이버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서 CU 제페토한강점(사진)을 열었다. 편의점 중 최초다. 제페토한강점엔 한강을 보며 커피를 마실 수 있는 루프톱과 CU의 즉석 원두커피인 GET커피 머신을 설치했다. 점포 내부는 CU 자체브랜드(PB)인 헤이루 제품과 인기 상품으로 채웠다.
BGF리테일은 제페토를 운영하는 네이버제트와 4개월간 메타버스 편의점을 개발했다. 제페토 전담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려 점포를 만들고 집기와 상품을 메타버스에 맞게 구현했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메타버스 인기 맵으로 꼽히는 교실, 지하철에도 특색에 맞는 점포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다음달 제페토에 서핑 호텔인 브리드호텔양양을 연다. 지난달 강원 양양에 개장한 호텔을 메타버스에서 구현해 서핑과 객실을 간접 체험하도록 할 계획이다. 한화호텔은 최근 3차원(3D) 공간데이터 기업 어반베이스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리조트 분야에 메타버스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롯데는 그룹 차원에서 메타버스사업을 검토 중이다. 강희태 롯데쇼핑 부회장은 하반기 VCM(롯데 사장단 회의)에서 메타버스를 신성장동력 중 하나로 제시했다. 롯데정보통신은 지난달 메타버스 기업 비전브이알을 인수했다. 가상현실(VR)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과 행동에 따라 주위 인물의 행동과 상황이 변하는 기술을 보유한 업체다. 롯데는 유통업에서 강력한 경쟁자인 네이버의 제페토에 입점하지 않고 자체 플랫폼을 육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롯데 유통 계열사 중에선 롯데홈쇼핑이 가장 적극적이다. 롯데홈쇼핑은 지난달 메타버스 관련 기술과 서비스를 담당하는 메타버스전담팀을 신설했다. 연내 모바일 방송과 연계해 소비자가 아바타로 쇼호스트와 소통하는 메타버스 쇼핑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현재는 브랜드 마케팅을 위해 기존 플랫폼에 시범적으로 입점하는 수준”이라며 “메타버스 자체 플랫폼을 만들지, 점포를 어떻게 수익화할지 등을 두고 유통업체들이 고민에 빠졌다”고 말했다.
"1020 잡아라"…메타버스에 문 여는 편의점·호텔
유통업계가 ‘Z세대의 플랫폼’ 메타버스에 잇달아 진출하고 있다. 핵심 타깃 소비자인 젊은 층이 모이는 곳으로, 코로나19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마케팅 플랫폼으로 떠오르고
n.news.naver.com
3 본문의 근거 (객관적인 수치)
CU: 11일 네이버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에서 CU 제페토한강점 개점
4 추가조사할 내용 OR 결과
* 메타버스
1) 플랫폼: 네이버 제페토, SKT 점프, 엔씨 유니버스
제페토: 가입자 2억명(지난 2월 기준) 중 80%가 18세 미만(MZ세대가 절대 다수를 차지)
2) 게임: 로블록스, 마인크래프트, 동물의숲, 포트나이트
로블록스: 美 16세 미만 청소년의 50%가 가입, 하루 평균 접속자 4000만명
-> 메타버스의 기반 기술인 5G와 가상화폐의 발달로, 메타버스 플랫폼과 게임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
현재 메타버스 마케팅의 주 수익원은 광고와 유료 아이템 판매
소비자들의 행동 데이터가 향후 광고나 마케팅에 활용될 가능성
· 옥외 배너광고
: 'LOL'은 게임 내 마스터카드 배너를 게시
레이싱게임 '트랙매니아' 가상 옥외광고를 삽입해 개인화 된 광고 경험을 제공
· 버추얼 밋업
: 메타버스 플랫폼이나 게임에서 가상 회의, 설명회, 수업 등을 진행
최근 SKT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점프 AR·VR에서 채용설명회를 개최해 구직자들과 SKT 실무자들이 아바타 형태로 참여했으며 지난해 4월 메타버스 게임 '포트나이트'에서 열린 '트래비스 스캇'의 콘서트에는 1230만여명이 참여
· 국내 엔터테인먼트사인 하이브와 YG, JYP엔터테인먼트는 메타버스 플랫폼 '네이버Z'에 각각 70억원, 50억원, 50억원씩을 투자하며 향후 메타버스를 활용한 콘서트나 종합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시사
· 메타버스와 현실 세계가 따로 떨어져있는 것이 아닌, 서로 상호작용하며 융합되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전망
메타버스 내 가상 매장과 실물 배송을 연계한 서비스도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
ex1. 신세계인터내셔날
'폴스미스'와 '맨온더분' 등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3D 스캐닝 기술을 적용해 오프라인 매장을 온라인에 구현해 전월 대비 온라인 매출이 44% 증가
ex2. 에뛰드
· ‘신촌점 플래그십 스토어’에서는 나만을 위한 맞춤형 파운데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운데이션 팩토리’와 자신의 피부톤에 맞는 아이섀도우를 고르고 아이섀도우 팔레트를 만들 수 있는 ‘팔레트 플레이 타임’ 등 2가지 체험형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 가상 공간인 ‘버츄얼 스토어’는 에뛰드의 주요 상품을 온라인에서도 쉽고 재미있게 경험할 수 있도록 만든 가상 공간으로, 더욱 새로운 경험과 즐거운 여정을 제공한다. ‘버츄얼 스토어’에 접속하면 에뛰드 모델 최보민의 안내에 따라 에뛰드 매장을 온라인으로 구현한 듯한 가상 공간을 둘러볼 수 있다.
5 요약 및 의견
1. BGF리테일- 제페토를 운영하는 네이버제트와 4개월간 메타버스 편의점을 개발
제페토 전담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려 점포를 만들고 집기와 상품을 메타버스에 맞게 구현
2.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지난달 강원 양양에 개장한 호텔을 메타버스에서 구현해 서핑과 객실을 간접 체험
3. 롯데- 유통업에서 강력한 경쟁자인 네이버의 제페토에 입점하지 않고 자체 플랫폼을 육성할 것이라는 전망
-> 롯데홈쇼핑-연내 모바일 방송과 연계해 소비자가 아바타로 쇼호스트와 소통하는 메타버스 쇼핑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
6 적용할 점
메타버스 플랫폼/게임의 주 이용 고객 연령대는 10대로 비중이 60~70%로 확인할 수 있었다.
주 이용 고객의 연령대가 다른 산업의 경우, 메타버스를 도입하는 것의 실효성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앱 이용자 연령별, 성별 비중을 분석 결과, 제페토 서비스 이용자 비중은 7~12세 50.4%, 13~18세 20.6%고, 성별로 보면 남성 23%, 여성 77%다. 로블록스는 7~12세 49.4%, 13~18세 12.9%고, 남성 45%, 여성 55%다. 10대 이용자 비중이 60~70%에 달한다. -2021, 닐슨코리아)
7 연관 기사 링크
1) 가상과 현실을 잇는 메타버스가 온다… 광고·마케팅은 어떻게 달라질까
가상과 현실을 잇는 메타버스가 온다… 광고·마케팅은 어떻게 달라질까 - Brand Brief - 브랜드브리
\"메타버스가 온다(The Metaverse is coming).\"가상과 현실의 상호작용 속에서 사회·경제·문화 활동을 하며 가치를 창출해나가는 세상을 의미하는 메타버스(Metaverse) 시대가 성큼 도래했다. 오는 ...
www.brandbrief.co.kr
2) 패션·뷰티업계, 메타버스·VR 스토어 등 MZ세대 겨냥한 서비스 확대
패션·뷰티업계, 메타버스·VR 스토어 등 MZ세대 겨냥한 서비스 확대
패션·뷰티업계, 메타버스·VR 스토어 등 MZ세대 겨냥한 서비스 확대
digitalchosun.dizzo.com
3) 메타버스의 미래 그리고 우려...가상서 느끼는 五感, 범죄 위험은 과제
메타버스의 미래 그리고 우려...가상서 느끼는 五感, 범죄 위험은 과제
시장조사 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글로벌 메타버스 시장은 당장 수년 뒤인 2025년 관련 매출만 2800억달러(약 317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PwC 역시 2019년 455억달러 규모였던
news.mk.co.kr
'경제신문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신문스크랩] 019. "기저귀 분유 사는 아빠 늘었다"…길어진 '집콕'에 육아템 사는 남성 /21.08.16 (1) | 2021.08.16 |
---|---|
[경제신문스크랩] 018. 회사이름과 설명 한줄만 넣어도…광고 문구 척척 만들어주는 AI /21.08.13 (0) | 2021.08.13 |
[경제신문스크랩] 016. 마이크로바이옴, 이젠 바르세요 /21.08.11 (0) | 2021.08.11 |
[경제신문스크랩] 015. 청바지 기업 리바이스도 디지털로 혁신…매출 2.5배 급증 /21.08.10 (0) | 2021.08.10 |
[경제신문스크랩] 014. "구글처럼 혁신적인 한국 기업 많아…ESG 부족하면 투자 안한다"/21.08.06 (0) | 202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