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신문스크랩

[경제신문스크랩] 014. "구글처럼 혁신적인 한국 기업 많아…ESG 부족하면 투자 안한다"/21.08.06

행복한 댕글 2021. 8. 9. 15:50

  1    헤드라인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미국서 서점 몰아냈던 아마존
지금은 스스로 서점 만드는 중
온라인 성공기업도 오프라인行
온·오프 결합 '옴니라인' 시대 온다

기업들 부동산 파는 건 바람직
몸집보다 현금흐름 좋은지 봐야

中, 7년내 중산층만 10억명
전례없는 투자 기회 올 것


  2    본문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은 지난 6일 서울 청진동 사무실에서 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성장성과 안정성을 갖춘 한·중·일 등 3개국의 내수기업을 발굴해 투자하라”고 조언했다. 김영우 기자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옴니라인’의 시대가 올 것입니다. 온라인에서 성공하며 머물고 있는 기업들도 오프라인으로 다시 나와야 합니다.”

아시아 최대 독립계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은 지난 6일 서울 청진동 사무실에서 한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앞으로는 기술 관련 기업들의 세상이 될 것이고, 그 핵심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융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런 뜻을 이미 지난해 투자자에게 보낸 연례서한에 “Every deal is a tech deal(모든 딜은 기술 관련 딜이다)”이라고 적으며 내비쳤다. MBK파트너스의 운용 자산은 245억달러(약 28조770억원)에 이른다. MBK의 작은 움직임에도 시장이 반응하는 이유다.1963년생인 김 회장은 초등학교 6학년 때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대 경영대학원(MBA)을 졸업한 뒤 1995년 골드만삭스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했다. 미국의 사모펀드 칼라일로 옮겨 한미은행 인수를 주도하며 금융계에서 주목받았다. 2005년 MBK파트너스를 세우며 독립해 홈플러스, ING생명, 유니버설스튜디오 등을 인수했다. 김 회장의 언론 인터뷰는 8년 만이다. 다음은 일문일답.

▷투자한 회사들이 내수 기업에 치중해 있습니다.

“여전히 내수시장 투자에 대한 의지와 확신이 매우 강합니다. 다만 내수의 정의가 테크 요소를 포함해야 할 것입니다. 실제로 우리가 투자한 기업인 홈플러스도 쿠팡으로부터 위협을 느끼는 게 사실입니다. 다만 쿠팡처럼 온라인으로 승부를 보는 게 맞는지도 의문입니다.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둘 중 하나인 단일 모델로는 앞으로 성장이 힘들다고 봅니다. 그래서 ‘옴니라인’을 떠올려봤습니다. 미국의 아마존이 오프라인 서점들을 ‘올킬’한 뒤 이제 다시 오프라인 서점을 만들고 있는 것처럼요.”

▷내수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이유가 있는지요.

“내수는 국가 경제를 기반으로 합니다. 국가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좋으면, 내수 기업도 함께 성장할 수밖에 없습니다. 수출은 목적지인 국가의 경제 상황이나 대외 변수 등에 따라 변동이 심해 롱텀으로 투자하기 힘듭니다. 특히 한·중·일 등 3개국은 성장성과 안정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이 국가에서 내수 기업을 발굴해 투자하기 좋습니다.”

▷한·중·일의 투자 환경은 어떻습니까.

“최근에 싱가포르에서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강연한 적이 있는데, ‘일본이 1980년대 IBM이라면 한국은 2020년대 구글이나 페이스북’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은 역동적이고 기술친화적인 시장입니다. 최근 가격이 높아진 탓에 조금 주춤하지만 경제 수치들을 보고, 기업들을 보면 바이아웃(경영권 인수 투자)할 기업이 많습니다. 중국 역시 투자 기회가 큰 국가입니다. 맥킨지가 3년 전 ‘중국은 10년 내 중산층이 10억 명에 달할 것’이라는 보고서를 냈습니다. 7년 남았습니다. 이러면 내수시장도 분명 커지겠지요. 특히 중국 기업들은 은행 대출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우리 같은 사모펀드엔 더 큰 투자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최근 게임, 교육, 플랫폼 산업 등에 강력한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시장에선 이를 중국 리스크라고 부릅니다.

오히려 그런 상황이 좋은 투자 기회를 만들어냅니다. 이런 불확실한 규제가 터질 때 기업의 ‘프라이싱(시장 가격)’도 급변합니다. 투자하는 사람들은 그런 리스크를 제대로 읽고 가격을 더 정확히 매기는 일을 하는 사람입니다. 시장에서 잘못된 프라이싱이 일어날 때를 대비해 SS펀드(special situation펀드: 주주 또는 회사의 특수 상황에 투자하는 펀드)가 있는 것입니다. MBK파트너스도 최근 이런 투자 기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사모펀드 특성상 한번 투자하면 적어도 수천억원대를 집행합니다. 투자를 결정할 때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꼽습니까.

“실사입니다. 잘되는 운용사와 잘 안 되는 운용사의 차이는 실사에서 비롯됩니다. 직접 가보지 않고, 들여다보지 않고 투자하면 절대로 안 됩니다. 우리는 임직원이 들어오면 ‘너의 일은 실사다(You’re job is due diligence)’라고 합니다. 실사가 제일 중요하고, 그렇게 트레이닝하고 있습니다. 꼭대기부터 시작해 1층까지, 때론 지하 2층까지 계속 파야 회사의 장단점이 보입니다. 그 결과를 믿고 투자하는 것입니다.”

▷MBK가 투자한 큰 기업 수가 38개입니다. 기업 경영도 함께하게 될 텐데 경영 시 가장 중요하게 꼽는 건 뭔가요.

“이익입니다. 매출은 다음입니다. 기업들을 순위 매길 때 대개는 자산 규모로 합니다.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기업은 이익을 내야 하고, 현금 흐름이 좋아야 합니다. 양궁선수들의 체구가 다양한데, 결국 선수의 생명은 화살이 어디에 꽂히는지 아닙니까. 우리는 영업이익을 순위로 매기고, 경영도 이익을 최우선으로 두고 합니다. 그런 관점에서 기업들이 왜 부동산을 보유하는지 저는 잘 이해가 안 됩니다. 부동산은 캐시플로(현금흐름창출)에 도움이 안 됩니다.”

▷요즘 PEF 운용사도 스타트업 투자를 늘리고, 이런 스타트업 중엔 메타버스(가상환경), NFT(대체 불가능한 토큰) 기업도 있습니다.

“우리는 그런 투자를 안 합니다. 모르는 분야엔 절대로 돈을 넣지 않아요. 제가 사모펀드 투자자로 활동한 게 23년째인데, 이 기간 가장 중요하게 얻은 교훈은 모르는 분야는 쳐다보지도 말자였습니다. 해당 분야에 대해선 투자 검토도 해본 적이 없습니다. 앞으로도 안 할 겁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실사할 때 해당 기업의 ESG도 반드시 챙겨보고 있습니다. ESG가 부족한 기업엔 투자하지 않습니다. ESG가 도덕적으로 옳아서가 아니라 수익성 측면에서도 좋습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구글처럼 혁신적인 한국 기업 많아…ESG 부족하면 투자 안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옴니라인’의 시대가 올 것입니다. 온라인에서 성공하며 머물고 있는 기업들도 오프라인으로 다시 나와야 합니다.” 아시아 최대 독립계 사모펀드(PEF) 운용사

news.naver.com

 


  3    본문의 근거 (객관적인 수치)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강연: 일본이 1980년대 IBM이라면 한국은 2020년대 구글이나 페이스북’이다.

-> 한국은 역동적이고 기술친화적인 시장

맥킨지 2018년 보고서- ‘중국은 10년 내 중산층이 10억 명에 달할 것’이다.


 

  4    추가조사할 내용 OR 결과 

 

1. 기업이 ESG경영(환경·책임·투명경영)에 망설이는 이유 중 하나는 수익성에 반할 수 있다는 우려.

: 건설회사는 친환경 리모델링으로 사업 기회를 창출하게 되고, 소비재 산업은 친환경 제품을 마케팅 포인트로 삼아 MZ세대 소비자를 공략할 수 있다.

대기업 중심이 아닌, 중견기업, 중소기업이 ESG경영을 도입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 마련 필요.

→ 세계적으로 ESG를 선도하는 여러 기업은 매출·영업이익·주가의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음.

ex. 미국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 소비에서 '정치적 올바름'을 따지는 MZ세대에게 적중.

 

2. 친환경과 사회공헌 등을 고려하는 경영 활동이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기업을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의 하나로 떠오르면서, 2021년 재계에서는 환경과 경제의 교집합을 찾는 일이 기업과 투자자 모두에게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사례 1. 블랙록: 지난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투자 최우선 순위를 ESG로 발표하고, 화석연료 관련 매출이 25%를 넘는 기업에 투자하지 않겠다고 선언

→ 사례2. 국민연금: 2022년까지 전체 운용 자산 절반을 ESG 기업에 투자한다는 방침

 

3. ESG 마케팅

SG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진정성’인 것 같다. 진정성을 갖고 ESG 경영을 할 때 고객은 자연스럽게 해당 기업에 대한 호감과 애정을 느끼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황 부사장은 “저절로 퍼져 나가기 위해서는 진정성과 함께 어떤 스토리나 콘텐츠가 담겨 있는지도 중요할 것"

정보전달이 주 목적인 제품광고는 일방적인 설명을 통해서도 제품에 대한 호감을 만들 수 있으나 ESG 마케팅은 다르다.  “우리 제품의 어느 부분이 좋다는 자기 입으로 말하고 소문 낼 수 있지만 내가 좋은 사람이라는 것은 스스로 소문낼 수 없지 않나. 기업의 ESG 마케팅도 같은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기업 철학과 관련 있는 ESG를 일방적으로 전달할 경우 ‘잘난 척 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는 게 황 부사장의 설명

-연관기사 4번 참고

 지구의 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며, 고객들은 단순히 제품과 서비스로 얻을 수 있는 장점보다 그 ‘상징성’에 주목하고 있다. 저렴한 가격이 선택의 기준이 되었던 과거와 달리, 신념에 따라 돈을 더 지불하더라도 ‘착한 기업’을 선택할 용의가 있음.

 

4. ESG 적용 과정에서의 문제점

:  ESG지표의 일관성이 떨어진다거나 대기업 편증 효과, 또는 지역별 편차 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미래 성장동력에 ESG가 어떤 측면에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등이 제시되어야 하는데,대부분 보여주기식이거나 홍보용 측면이 강하다. 단순 마케팅용 아닌 지속가능한 투자가 정착되어야 한다.




  5    요약 및 의견

 

1. 옴니라인의 중요성 대두 ex. 美 아마존

2. ESG 경영의 중요성이 커짐

-> ESG는 도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수익성 측면에서도 좋음


  6    적용할 점

 

1)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지속 가능한 ESG 마케팅보다 단순 마케팅의 목적으로 ESG 마케팅을 집행하게 되는 현실적인 이유가 있다면?

2) 일반적인 제품광고와 달리, ESG 마케팅의 경우 적극적인 홍보보다 소비자들에게 자연스럽게 알려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기존의 마케팅 방식과는 다르게 접근해야 할 것 같다. 실제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효과적인 전략이 있었다면?


  7    연관 기사 링크

 

1) 지속 가능한 마케팅의 답안, ESG

 

지속 가능한 마케팅의 답안, ESG – 제일기획 매거진

최근의 1위 화두는 단연코 ESG다. E(Environmental), S(Social), G(Governance) 알파벳 하나하나가 사회와 비즈니스의 중요한 가치를 담아내고 있다. 이 와중에 마케터들의 고민과 숙제도 많아지고 있다. 그런

magazine.cheil.com

 

2) [2021 환경제 키워드 ⓛ] ESG 평가 좋은 기업, 수익률도 더 높을까?

 

[2021 환경제 키워드 ⓛ] ESG 평가 좋은 기업, 수익률도 더 높을까?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지난 2020년 신년사에서 “그동안 경제 성장의 부산물로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왔다면, 앞으로는 환경을 기본에 두고 성장을 도모하도록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www.greenpostkorea.co.kr

 

3) ① ESG, 기업에 부담만 주나…길게 보면 기회이자 투자

 

① ESG, 기업에 부담만 주나…길게 보면 기회이자 투자

◆ ESG 오해와 진실 ◆ 환경·책임·투명경영(ESG)이 금융권과 기업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ESG는 기업의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업이 ESG를 실천하지 않으

www.mk.co.kr

 

4) [ESF 2021]황보현 "ESG 마케팅, 알리지 말고 알려지게 하라"

 

[ESF 2021]황보현 "ESG 마케팅, 알리지 말고 알려지게 하라"

“10년 전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마이크로소프트(MS)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등 좋은 일을 많이 한 기업으로 꼽힌다. 당시 MS는 자사 검색엔진 빙(BING)의 트위터 계정으로 일본지진 피해자

www.edaily.co.kr

 

5) ESG 경영, '착한 기업' 이 돈을 부르는 시대

 

ESG 경영, '착한 기업' 이 돈을 부르는 시대 - 소비자평가

소비자들의 환경, 사회에 대한 인식의 확대로 이른바 ‘착한 기업’ 이 살아남는 시대가 도래했다. 착한 기업이란 환경을 생각하고(Environment), 사회에 공헌하며(Social), 투명한 지

www.iconsumer.or.kr